트럼프 자동차 관세, 현대차 수혜일까? 피해일까?
현대차가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정책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백악관 라이브 방송에서는 현대차가 미국 내에서 생산하면 관세를 면제받을 것처럼 보도됐다. 하지만 불과 며칠 뒤, 트럼프는 "미국 외에서 생산된 차량에는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결국 현대차는 미국 투자에도 불구하고 한국 생산 차량에 대한 관세 폭탄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현대차는 미국 조지아주에 76억 달러를 투자해 연간 50만 대의 전기차를 생산하는 공장을 준공했다. 이를 두고 트럼프는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에 일부 언론에서는 "현대차, 관세 면제 확정!"이라는 기사를 내놓았다.
하지만 트럼프는 이어서 "미국 외에서 생산된 차량에는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즉, 한국 공장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차량은 여전히 관세를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대차는 미국 투자에도 불구하고 한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모델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위기에 처했다.
트럼프는 현대차가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발표한 타이밍에 맞춰 관세 정책을 내놓았다. 마치 자신의 정책 덕분에 현대차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려는 전략이었다. 하지만 현실은 현대차가 미국에 거액을 투자하고도 한국 생산 모델에는 여전히 관세를 내야 한다는 점에서, ‘뒤통수를 맞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미국 대선과 자동차 관세 트럼프는 보호무역 기조를 유지하며 미국 내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발표는 현대차뿐만 아니라 글로벌 자동차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으며, 바이든 행정부의 대응도 주목할 부분이다.
현재 현대차는 미국 생산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향후 4년간 21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해 미국 내 생산시설을 확장할 계획이지만, 한국 생산 차량의 관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트럼프의 정책이 확정되면 현대차뿐만 아니라 한국 자동차 업계 전체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제네시스 등 한국에서 생산 후 수출하는 차량들은 가격 경쟁력을 잃을 위험이 크다.
트럼프의 메시지는 명확하다. "미국에서 만들어라, 그러면 관세를 피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차 산업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현대차가 관세를 피해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할지, 혹은 관세 부담을 감수하고라도 한국 생산을 유지할지 주목된다. 이러한 정책 변화가 국내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과 투자 방향을 지속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트럼프 시대의 귀환, 달러 약세가 불러올 변화는? (8) | 2025.04.12 |
---|---|
📌 트럼프, 대부분 국가에 '90일 관세 유예'…중국엔 '125%' 인상 강행! (6) | 2025.04.10 |
트럼프 자동차 상호 관세 발표로 "현대차 관세 없다", 수혜주로 급부상할까? 자동차 관련주 기대감 증폭 (6) | 2025.03.26 |
트럼프 행정부 의약품 25% 관세 부과 예고! 국내 제약사 대응 전략은? (6) | 2025.03.24 |
트럼프 상호관세 정책,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주식시장 반응 분석 (8) | 2025.03.23 |